아무것도 구하지 않을 때 그대는 이미 도안에 있다.
그는 파사국 또는 향리국 국왕의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시호는 원각대사(圓覺大師)이다.
대승에 뜻을 두고 명상했으며 외국에 포교하기 위해서 남중국에 왔다.
그 후 북쪽의 위나라로 가서 일이 잘되어 여러 가지 선(禪)의 가르침을 폈다.
특히 나이 어린 도육(道育)과 혜가(蕙可)라는
두 사람의 승려가 그를 받들면서 4-5년에 걸쳐 가르침을 받았다.
그의 수행은 벽관, 벽을 향해서 좌선을 하는 것으로 마음이 본래부터 깨끗한 도리를 깨닫는 것이다.
도(道)에 이르는 길은 많다. 하지만 그것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진다.
그 두 가지란 원리적인 방법과 실천적인 방법이다.
원리적인 방법이란 가르침에 의해서 본질을 알고 살아 있는
모든 것들이 똑 같은 본성을 지니고 있음을 믿는 것이다.
그것을 깨닫지 못하는 것은 감각과 망상에 사로잡혀 있기 때문이다.
망상을 등지고 실체로 돌아와 벽을 마주하고 앉은 사람은 나도 없고 남도 없음을 깨닫는다.
그에게는 중생과 부처가 하나이다.
그런 사람들은 경전을 대하고도 흔들림이 없으며, 무언중에 원리와 완전한 하나를 이룬다.
그는 이제 더 이상 나아가지 않고 아무런 인위적인 노력도 하지 않는다.
그러한 상태를 우리는 이입(理入), 즉 원리로 도(道)에 들어갔다고 부른다.
실천적인 방법에는 네 가지가 있다. 그것을 사행(四行)이라고 부르는데,
그 네 가지는 첫째 억울함을 참고, 둘째 인연을 받아들이며,
셋째 아무 것도 구하지 않고, 넷째 다르마(法)를 따라 사는 것이다.
첫째, 억울함을 참는 것이다.
도를 추구하는 사람이 불행을 만나면
그들은 자신들에게 이렇게 말해야 한다.
"셀 수 없는 세월 동안 나는 본질적인 것에서 등을 돌리고 하찮은 것을 위해 살았으며,
여러 가지로 존재의 겉모습을 바꾸어 가며 방황해 왔다.
그러면서 까닭 없이 자주 화를 내었고, 수없이 계율을 위반하는 죄를 범했다.
지금 나는 아무런 잘못도 저지르지 않았지만 과거의 잘못으로 벌을 받고 있다.
어떤 신이나 인간도 잘못된 행위가 언제 그 열매를 맺는지 미리 예견할 수 없다.
나는 열린 가슴으로 그것을 받아들이며, 억울하다고 불평하지 않으리라."
경에 이르기를 "그대가 불행을 만나더라도 마음을 어지럽히지 말라.
왜냐하면 그것은 사리에 합당한 것이기 때문이다."고 했다.
이러한 이해를 통해서 그대는 원리와 조화를 이루게 된다.
그리고 억울함을 참으로써 그대는 도(道)의 길에 들어서게 된다.
둘째, 인연을 받아들이는 것이다.
모든 사람은 본래의 자아란 것이 없으며 단지 인연에 따라 움직인다.
만일 우리가 어떤 큰 보상, 즉 부와 명성을 얻는 일을 만나더라도
그것은 과거에 우리가 뿌린 씨앗을 거두는 것일 뿐이다.
인연이 다하면 그것은 또다시 무로 돌아간다. 그러니 기뻐할 것이 없다.
성공과 실패가 모두 인연을 따라오는 것임을 안다면 그 사람은 더 이상 마음이 들뜨거나
낙심하는 일이 없다.
세속의 즐거움 따위에 마음이 동요하지 않는 사람은 침묵 속에서 도(道)를 따른다.
셋째, 아무 것도 구하지 않는 것이다.
이 세상 사람들은 망상에 사로잡혀 있다.
그들은 항상 어떤 것을 갈망하고 있다. 한마디로 말해 항상 무엇인가를 구하는 중에 있다.
그러나 지혜로운 사람은 깨어 있다. 그들의 이성은 세상의 길과 차원을 달리한다.
그들은 마음을 성스러운 곳에 고정시키고 몸마저 계절의 흐름에 따라 변화시킨다.
모든 현상계는 공허하다.
그것들은 추구할 가치가 전혀 없는 것들이며 복과 화는 영원히 함께 한다.
삼계(三界)에 머무는 것은 불타는 집 속에 있는 것과 같다.
육체가 있는 한 그 사람은 고통스럽다. 어떤 사람이 그 속에서 평화롭게 안주할 수 있겠는가?
넷째는, 다르마(法)를 따라 사는 것이다.
다르마란 만물이 본질적으로 순수하다는 진리를 일컫는다.
이 진리에 따르면 모든 현상은 텅 빈 공(空)이다.
거기에는 더러움도 없고 집착도 없으며, 주체도 없고 객체도 없다.
경에 이르기를 "다르마는 어떤 존재도 포함하지 않는다.
존재의 더러움을 초월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다르마에는 자아가 없다.
자아의 더러움을 초월하고 있기 때문이다."라고 했다.
지혜로운 사람은 이 진리를 충분히 체득하고 확신하여서 다르마에 따라 실천한다.
다르마 그 자체는 그 어떤 것도 아끼지 않는다.
따라서 다르마를 따라 사는 사람은 자신의 몸과 생명과 소유물을 아낌없이 베푼다.
그들은 후회하지도 않고, 주는 자와 받는 자라든가 선물을 준다던가 하는 허영심이 없으며,
선입견도 집착도 갖지 않는다. 그들은 모두를 도와 더러움을 씻게 하지만 형상에 사로잡히지 않는다.
그들 자신의 수행을 통해 그들은 남을 도울 수 있으며 깨달음으로 가는 길을 영광스럽게 할 수 있다.
이 자비의 덕과 마찬가지로 그들은 다른 덕들을 행한다.
하지만 망상을 떨쳐 버리기 위하여 여섯 가지의 덕을 행하고도 그들은 전혀 행한 것이 없는 것이다.
그것이 바로 다르마를 따라 사는 것이다.
이것을 이해한 사람은 모든 것으로부터 초연하다.
그는 환상을 그치며 어떤 것도 구하지 않는다. 경에 이르기를 "구하는 것이 곧 고통이다.
아무 것도 구하지 않는것이야 말로 축복이다." 라고 했다
그대가 아무 것도 구하지 않을 때 그대는 이미 도(道)안에 있다.
- 옮긴글 -
'공부 방 > 불교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수관음 춤 (0) | 2010.01.15 |
---|---|
촛불을 켜고 향을 사르는 의미 (0) | 2009.11.12 |
옴마니반메훔 의미와 상징 (0) | 2009.08.10 |
용서 중에서 - 달라이라마 (0) | 2009.06.25 |
금강경이란? (0) | 2009.05.31 |